프로축구(4)
-
지자체 구단 '밑빠진 독 물 붓기' 이대로 좋은가 ③ K리그의 회전문 승강제 명분도 실익도 없다
지자체가 구단 지분을 최대주주로서 보유하고 운영을 지배하는 이른바 '지자체 구단'의 문제를 심층 분석하는 시리즈 1편 '지자체 구단 법적 형태 및 지배 구조 현황', 2편 '구단 손익 및 지자체 지원 현황'에 이어서 지자체 구단의 지속성과 관련한 K리그 내 '승강제' 체제의 유지 필요성 유무를 알아본다.국내 프로축구(K리그)에 승강제가 도입돼 시행된 것은 2013 시즌부터다. 그 전에도 실업리그(N리그)와 연계한 승강제 도입이 시도됐지만 실업리그 소속 승격 대상팀이 법인화 및 가입비용 부담 등으로 승격을 거부하는 등 파행을 겪었다. 그러다가 2009년도 당시 아시아축구연맹(AFC)의 승강제 미실시 국가 리그 팀 AFC 챔피언스 리그 참가 제한이라는 법적 근거 없는 방침(소문)과 이와 맞물린 프로축구계의 ..
2024.06.28 -
지자체 구단 '밑빠진 독 물 붓기' 이대로 좋은가 ② 구단 손익 및 지자체 지원 현황
지자체가 구단 지분을 최대주주로서 보유하고 운영을 지배하는 이른바 '지자체 구단'의 문제를 심층 분석하는 시리즈 1편 '지자체 구단 법적 형태 및 지배 구조 현황'에 이어서 2편에서는 지자체 구단의 경영 성과 관련 현황과 지자체의 지원 규모를 알아본다.먼저 지자체 구단의 경영 성과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프로축구 전반의 재무 현황을 알아 보자. 아래 차트는 경영 공시 자료를 바탕으로 기업구단과 지자체 구단을 포함하여 산출한 프로축구 구단 2018년도 ~ 2021년도 재무지표 중 매출액, 영업손익 등의 평균이다. K리그 구단의 전반적 영업활동 수익성 저조광고 수입, 관중 입장 수입, 상품 판매 수입, 이적료 수입 등이 포함된 매출액 평균이 136억여 원(18년도)-> 151억여 원(19년도)-> 166억여..
2024.06.28 -
지자체 구단 '밑빠진 독 물 붓기' 이대로 좋은가 ① 법적 형태 및 지배 구조
국내 프로스포츠에서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가 연고 구단 창설과 운영에서 출자(출연)하여 구단 지분(주식)을 최대주주로서 소유하거나 구단 운영을 지배하는 종목은 프로축구다. 그러한 구단을 일반적으로 '시민구단'이라고 부르나 정확한 표현은 아니다. 오히려 '지자체구단'이라고 부르는 것이 맞는 표현이다(이유는 아래에서). 지자체 구단 운영을 위해 지자체가 매년 수십억 많게는 백억 원 넘는 돈을 지원하고 있는데 문제는 지자체 구단이 재정적으로 자생력을 갖지 못해 이러한 혈세 지원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지자체의 운영비 지원없이는 연명할 수 없는 신세라는 것이다(자세한 지원 내용은 다음 관련 주제 글에서).'밑빠진 독에 물 붓기' 프로축구 지자체 구단 운영수십억~백억 원 지원만큼 지자체 주민에..
2024.06.28 -
영국에선 토요일 오후 3시 프로축구 TV중계 왜 없나
최근 영국에서 프로축구 프리미어 리그(EPL) 경기 중계 방송을 불법적으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고 구독자 5만 명에게서 이용료 7백만 파운드를 받은 조직 5명이 적발됐고 이들이 몇 년 징역형 선고를 받은 사건이 알려졌습니다. 이 사건 배경으로서 영국의 프로축구 중계 관련 '불랙아웃'(Black-Out)룰이 새삼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유는 바로 위 사건이 블랙아웃 룰 때문에 발생했다고 볼 수 있어서입니다. 블랙아웃 룰이 없었다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었고, 오랜 역사를 가진 제도의 당부당을 다시 따져 볼 필요가 있다는 여론이 있기 때문입니다. 영국과 스코틀랜드 프로축구 고유의 룰인 블랙아웃은 토요일 경기 중 일정 시간에는 실시간으로 TV중계가 허용되지 않은 것을 말합니다. 블랙아웃 룰은 언제, 왜..
2024.05.14